본문 바로가기

Data science

[ADP/ADsP] 데이터의 이해

 

[ 데이터와 정보 ]

1. 데이터의 정의

1)  데이터란?

 ‘객관적 사실이라는 존재적 특성을 갖는 동시에추론,예측,전망,추정을 위한 근거로 기능하는

당위적 특성 또한 갖고 있다

(ex) 객관적 사실(존재적 특성) : 수요조사, 실험, 검사, 측정

       추론,예측,전망,추정을 위한 근거(당위적 특성): 마케팅 리포트, 논문, 경영전략, 정책수립

 

2) 데이터의 구분

① 정성적 데이터 : 언어, 문자 등의 형태

     (ex) 회사 매출이 증가함

     - 설문조사의 주관식 답이나, SNS글과 같은 경우 (비정형 데이터)

     - 상대적으로 많은 비용과 기술적 투자가 수반된다

② 정량적 데이터 : 수치, 도형, 기호 등의 형태

     (ex) 30(나이), 48.8(Kg)

     - 수치로 명확하게 표현되는 데이터로 이를 관리하는 DBMS시스템에 저장,검색,분석 활용하기 쉽다

데이터는 지식형성과정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.

     - 암묵지 : 학습과 체험을 통한 개인에게 습득되어 있으나 겉으로는 드러나지 않는 지식

            외부에 표출되어 다른사람에게 공유되기 어렵다

     (ex) 김장 담그기, 자전거 타기

    - 형식지 : 교과서, 매뉴얼, 비디오, DB와 같이 형상화된 지식, 유형으로 전달과 공유가 용이

 

 

# 경영학 분야의 관점

   현장 경험을 통해 개인에게 축적된 내면화 지식을 조직의 지식으로 공동화하고, 이를 다시

개인이 보인의 지식에 연결하여 그 바탕위에서 새로운 경험을 부가하여 다시 내면화하는 과정

이 반복되는 상호 순환작용을 통해 조직의 지식이 증대된다고 본다.

 

 

2. 데이터와 정보 관계

DIKW피라미드 : Data, Information, Knowledge, Wisdom

      → 데이터, 정보, 지식을 통해 최종적으로 지혜를 얻어내는 계층구조

DIKW피라미드

① 데이터 : 개별 데이터 자체로는 별 의미가 없다. (객관적 사실) 데이터의 가공, 처리와 데이터간 연관관계 속에서 의미가 도출된 것을 정보로 설명. (A마트 연필 100, B마트 연필 200)

 정보 : 데이터의 가공 및 상관관계 간 이해를 통해 패턴을 인식하고, 그 의미를 부여한 데이터 (A마트의 연필이 더 싸다)

③ 지식 : 상호연결된 정보 패턴을 이해하여 이를 토대로 예측한 결과물  (상대적으로 저렴한 A마트 연필을 사야겠다)

④ 지혜 : 근본원리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도출되는 창의적 아이디어  (A마트의 다른 상품들도 B마트보다 쌀 것이다)

 

 데이터, 정보, 지식은 상호관계 속에서 역할을 수행하며 인간의 사회활동에서 추구하는 가치창출을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 기능을 한다

'Data scienc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ADP/ADsP] 데이터베이스의 활용  (0) 2022.12.19
[ADP/ADsP] 데이터베이스 (DataBase)  (0) 2022.12.18